본문 바로가기
개발_TIL

개발_TIL | 2022-07-08 (57)

by Hee94 2022. 7. 8.

생활코딩 ERD

특강내용


🚩 1강

  1. 모델이란 ?
    • 어떤 목적을 가지고 진짜를 모방한 것
  2. 좋은 모델이란?
    • 목적에 부합하는 모방
  3. 데이터 모델링
    • 컴퓨터에 현실의 정보를 표에 담는 것

🚩 2강

  1. 주요 순서
    • 업무파악 →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→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→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
  2. 실제 코딩에서도!
    • 문제파악 → 사용할 메서드, 로직 생각하기 → 의사코드 작성하기 → 코딩

🚩 3강

  1. 말의 진의는 파악하되 말의 기능을 불신하라 (휘발됨, 바뀜)
    • 즉 상대방과 목적을 동기화하라 (문서)
  2. 같이 UI를 작성하라
    •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데 도움이 된다!

🚩4강

  • 오븐앱 : https://ovenapp.io/ (카카오에서 만든 프로토타이핑(UI) 툴)
  • UI를 함께 작성하는 것으로 커뮤니케이션을 능동적으로 수행하자!
  • 꼭 UI는 웹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더라도!(우리 그림판으로 하고 있음)
  • 프로토타입을 함께 만들면서 목적을 획일화함

🚩5강

  •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은 관계형 데이터모델링의 극체
  •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모든 프로세스를 경험해 봤어야 한다
  •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이 완수된다면, 이 후의 작업은 기계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다!
  • 그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ERD(Entity Relationship Diagram)

🚩6강

  • UI를 통해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할 때, 각각의 데이터는 어떠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표로 만들기에 편하고, 또 효율적인가?
  • 그것은 데이터를 각각 독자적인 개체로 보고 나눈 뒤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!
  •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각 개체 간의 내포관계를 허용하지 않는다
  •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메모리를 줄이기 위해 단일 테이블로 보여주지 않는다

🚩7강

  • 개념적 데이터 모델에서 글쓰기 웹페이지(포괄적 의미에서 모델)를 예시로, 정보를 뽑아낸다면
    • 댓글
    • 저자
  • 의 세 가지의 큰 정보들을 뽑아내는데, 이것을 엔티티(Entity) 라고 한다
  • 엔티티는 그 안에서도 세부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, 이것을 어트리뷰트(Attribute) 라고 한다

  • 각각 엔티티는 각자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, 저자가 글을-쓰다, 저자가 댓글을-쓰다 와 같이 엔티티는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.

 

'개발_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개발_TIL | 2022-07-12 (59)  (0) 2022.07.12
개발_TIL | 2022-07-11 (58)  (0) 2022.07.11
개발_TIL | 2022-07-07 (56)  (0) 2022.07.07
개발_TIL | 2022-07-06 (55) // feat) KPT  (0) 2022.07.06
개발_TIL | 2022-07-05 (54)  (0) 2022.07.06